뉴스

비케이이엔지의

다양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시장 동향"폐플라스틱, 고품질 재생원료화 확대돼야... 대기업 중심 의무화 필요"

2023-04-17

홍수열 소장, "재생원료 사용 강제하는 국제흐름에 대응해야" 지적

재생원료,리사이클,순환경제,폐플라스틱,탄소중립
(c)위클리서울/픽사데이

[위클리서울=박영신 기자]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폐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이 중차대한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전문가들은 플라스틱 사용을 감소시키면서 고품질의 플라스틱 재생원료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아울러 재생원료 시장 구축을 위해 대기업 중심의 의무화가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도 내놨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은 “탄소중립을 위해 플라스틱 문제 해결이 매우 중요하다”며
“최근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 화학적 방법을 활용한 고품질 재생원료 공급과 사용을
확대하는 방안이 강조
되고 있다”고 짚었다.

홍수열 소장에 따르면 플라스틱의 주원료는 석유이며 전세계 석유 소비량의 6%가 플라스틱 생산에 쓰인다.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로 인해 배출되는
온실가스양은 2019년 기준 8억6천만~18억톤(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7%)로 추정된다.
또 플라스틱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의 90%는 플라스틱 생산과정에서,
나머지 10%는 폐플라스틱 처리과정에서 발생한다.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2019년 3억5천만톤에서 2060년에는 10억1천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폐플라스틱 재활용율은 2019년 기준 9%(3300만톤)에서 2060년에는 17%(1억7600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립율은 같은 기간 49%(1억7400만톤)에서 50%(5억700만톤)으로,
투기비율은 22%에서 15%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폐플라스틱 국내 연간 발생율은 2020년 기준 960만톤이며 2010년 대비 약 2배 증가했다.

홍 소장은 “폐플라스틱에 대한 재활용 관리체계는 소폭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매립·투기량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라고 짚었다.

홍수열소장,자원순환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탄소중립 순환자원 재활용 토론회"에서 발제를 하고 있다. (c)위클리서울/박영신 기자


폐플라스틱은 별도 수거·선별된 후 물리적으로 재활용되거나 화학적 재활용을 통해 고품질 재생원료로 만들어진다.

홍 소장은 “물리적 재활용은 비용 및 에너지 투입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순수 원료 및 에너지를 회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며
“복합재질 플라스틱 포장재를 단일재질로 재질구조 개선이 강력하게 추진될 필요가 있으며,
보증금제 도입 등을 통해 깨끗한 상태로 수거 및 선별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물리적 재활용을 통해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이 가능한 경우는 이런 방법을 우선 적용하되
이 재활용 적용이 어려운 경우는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아울러 홍 소장은 “화학적 재활용은 고품질 재생원료 확보를 위한 새로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며
“식품용기 등 원래의 용도대로 반복 순환이 가능한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을 위해
화학적 재활용 기술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화학적 재활용의 경우에도 정제, 해중합, 열분해 기술 등 다양한 기술 생태계가 구축돼
고품질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
특히 열분해 방법은 폐플라스틱을 기름으로 전환해 연료로 활용하는 것이 아닌,
다시 플라스틱 원료로 활용하는 것이 최종목표가 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탄소 중립,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 및 재생원료 사용을 강제하는 국제흐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이 필수적"이라며 "대규모 자본투자 및 시설의 규모화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또 "재생원료 초기 시장 구축을 위해 대기업 중심의 의무화가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홍 소장은 “장기적으로 플라스틱 제조 시 석유원료의 사용은 퇴출돼야 하며 식물원료로 전환돼야 한다”며
“또 플라스틱 사용량 축소와 재생원료 사용 확대를 통해서 신규로 투입되는 원료의 양과 폐기되는 양을 최소화해야 하며
특히 생태계로 투기되거나 매립되는 양은 없애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EU는 △플라스틱 포장재 대상 2040년까지의 재생원료 사용 목표 설정
△플라스틱세 도입 △포장재의 재활용성 강화 등 강력한 탈플라스틱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위클리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영신 기자 rainboweye07@hanmail.net

비케이이지㈜  대표이사 : 길병기

사업자등록번호 : 610-86-31890

본사 : (㉾ 44774) 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로 64번길 5-5, 2층

TEL : 052-256-9715 ⎮ FAX : 052-256-9716

EMAIL : bkeng@bk-eng.kr

[ 오시는 길 ]  ⎮    ⎮      

 

COPYRIGHT BY BK-ENG Inc. ALL RIGHTS RESERVED.

비케이이엔지㈜  |  대표이사 : 길병기  |  사업자등록번호 : 610-86-31890  |  TEL : 052-256-9715  |  FAX : 052-256-9716  |  EMAIL : bkeng@bk-eng.kr  |    |    

본사 : (㉾ 44774) 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로 64번길 5-5, 2층      [ 오시는 길 ]


COPYRIGHT BY BK-ENG Inc. ALL RIGHTS RESERVED.